반응형
고혈압 기준
고혈압은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조용히 혈관을 손상시키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입니다. 방치하면 심근경색, 뇌졸중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관리가 중요하죠.
- 정상 혈압: 수축기 120mmHg 미만, 이완기 80mmHg 미만
- 고혈압 전단계: 120~139mmHg 또는 80~89mmHg
- 1기 고혈압: 140~159mmHg 또는 90~99mmHg
- 2기 고혈압: 160mmHg 이상 또는 100mmHg 이상
- 고위험군 기준: 130/80mmHg 미만 관리 권고
고혈압 치료 방법
1. 생활습관 개선
- 소금 섭취 하루 5g 이하
- 체중 5kg만 감량해도 혈압 감소 효과
- 금연과 절주, 카페인 제한
- DASH 식단: 채소·과일·생선 중심
- 주 5회 이상 유산소 운동
- 스트레스 줄이고 숙면 확보
2. 약물 치료
- 이뇨제, 칼슘차단제, ACE억제제, ARB, 베타차단제
- 복합제 병용 시 부작용 적고 효과 높음
- 의사 상담 없이 복용 중단 금지
고혈압 환자 주의사항
- 급격한 온도 변화 피하기
- 과도한 힘주는 운동 또는 변비 주의
- 정기 혈압 측정 및 진료 지속
- 약 복용 + 생활습관 병행이 핵심
고혈압 약 가격 및 정부 지원
고혈압 치료는 보험 적용으로 비용 부담을 낮출 수 있으며, 일부 복합제의 경우도 최근 보험이 확대 적용되고 있습니다.
- 약값: 월 2,500~30,000원
- 복합제 보험 적용 시: 9,000원 → 2,500원 인하 사례
- 본인부담금: 평균 30%
-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: 연 8만 포인트까지 제공
온라인 조회 방법
1. 건강보험심사평가원 ‘내가 먹는 약! 한눈에’
- 최근 1년 투약 내역, 보험 적용 여부 확인
- 알러지 및 부작용 정보도 함께 조회 가능
2.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
- 진료·투약내역, 본인부담금 확인 가능
3.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앱 신청
- 모바일앱 ‘The건강보험’에서 신청
- 시범지역 대상, 참여자에게 인센티브 제공
요약 표
구분 | 내용 |
---|---|
진단 기준 | 140/90mmHg 이상 |
치료 원칙 | 생활습관 개선 + 약물 치료 |
약제 종류 | 이뇨제, 칼슘차단제, ARB 등 |
주의사항 | 정기 측정, 식단, 운동, 금연 |
약값 | 월 2,500~30,000원 |
정부 지원 | 건강보험, 건강인센티브 등 |
조회 방법 | HIRA, NHIS, 모바일앱 이용 |
마무리 정리
고혈압은 일상의 작은 변화로도 충분히 관리 가능한 질환입니다. 지금 당장 약 복용을 시작하지 않더라도, 식습관과 운동부터 조절해보세요. 또한 정부의 다양한 건강 지원 정책과 포인트 제도를 적극 활용해 경제적인 부담도 줄여보시길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