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건강검진 항목별 총정리
매년 바뀌는 국가건강검진 항목과 기준, 아직도 헷갈리시나요?
건강검진은 나이, 성별, 고위험군 여부에 따라 항목과 주기가 달라지기 때문에, 내가 받을 수 있는 항목을 정확히 알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지금부터 2025년 기준으로 최신 건강검진 정보를 정리해드릴게요.
반응형
건강검진은 국민건강보험공단, 정부24, e보건소 등 공식 사이트를 통해 대상자 조회 및 병원 검색이 가능합니다.
1. 일반 건강검진(성인)
모든 성인을 대상으로 2년에 1번씩 시행됩니다. 비사무직 근로자는 1년에 1번입니다.
- 문진 및 진찰 (병력 및 생활습관 파악)
- 신체계측 (키, 체중, 허리둘레, BMI)
- 혈압측정, 시력 및 청력검사
- 혈액검사 (당뇨, 간기능, 빈혈)
- 요검사 (신장기능)
- 흉부방사선 (폐결핵 등)
- 구강검진 (40세 이상)
연령·성별별 추가 항목
항목 | 대상 및 주기 |
---|---|
이상지질혈증 | 남 24세 이상, 여 40세 이상 / 4년 1회 |
B형간염 | 40세 (1회) |
C형간염 | 56세 (1회) |
골밀도 | 여성 54, 60, 66세 (각 1회) |
인지기능장애 | 66세 이상 (2년 1회) |
우울증 검사 | 20~34세(2년마다), 35~39세(1회), 40세 이상(10년 1회) |
2. 국가 5대 암 검진
암종 | 대상 | 주기 및 방법 |
---|---|---|
위암 | 40세 이상 | 2년마다 위내시경 또는 조영술 |
대장암 | 50세 이상 | 1년마다 분변잠혈 검사 |
간암 | 40세 이상 고위험군 | 연 2회 초음파+혈청 검사 |
유방암 | 40세 이상 여성 | 2년마다 유방촬영 |
자궁경부암 | 20세 이상 여성 | 2년마다 세포검사 |
폐암 | 54~74세 고위험군 | 2년마다 저선량CT(시행 예정) |
3. 영유아 건강검진
생후 14~71개월 동안 총 8회 실시됩니다.
성장 및 발달 평가, 시각·청각, 영양, 안전사고, 구강 상태 등을 체크합니다.
4. 생애전환기 검진
만 66세 이상 의료급여수급자를 대상으로 시행됩니다.
골밀도, 인지기능검사, 우울증, 노인신체기능, 생활습관 검사가 포함됩니다.
5. 검진 주기 요약표
검진 항목 | 주기 |
---|---|
일반 건강검진 | 2년마다 (비사무직은 매년) |
암 검진 | 1~2년마다 (암종별 상이) |
영유아 건강검진 | 총 8회 (생후 14~71개월) |
생애전환기 검진 | 66세 이상 2년마다 |
주의사항: 검진 예약 전 병원에 전화해 검사 가능 여부 및 준비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세요.
검진 기준 및 대상은 매년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정식 기관에서 최신 정보 확인 필수입니다.
검진 기준 및 대상은 매년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정식 기관에서 최신 정보 확인 필수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