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“퇴직금 받으면 뭐하지?”
이 질문을 하셨다면 여러분은 이미 중요한 첫걸음을 내딛은 겁니다.
퇴직금은 단순한 위로금이 아닙니다.
우리가 땀 흘려 일한 시간에 대한 '보상'이자, 새로운 삶을 준비하는 '시드머니'입니다.
이 글에서는 퇴직금의 정의부터 계산법, 똑똑한 활용까지 2025년 기준으로 자세히 안내드립니다.
퇴직금 정의
퇴직금이란, 근로자가 1년 이상 근무한 후 퇴직할 때 회사로부터 받는 법적 보상금입니다.
「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」에 따라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산정되며 모든 사업장에서 의무적으로 운영됩니다.
퇴직금 목적
- 노후 생활 안정: 퇴직 후 일정 기간 동안 생계 유지
- 장기 근속 유도: 직원의 이직률을 낮추고 조직 안정화
- 이직 대비: 재취업 전까지의 자금 마련
- 노동시장 유연성: 직업 변화에 따른 경제적 보장
퇴직금 지급 조건
- 1년 이상 근속
- 주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
- 정규직/계약직/일용직 구분 없이 조건 충족 시 지급
-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 지급 원칙
퇴직금 산정 공식
(1일 평균임금 × 30일) × (총 근속일 ÷ 365)
평균임금은 퇴직 전 3개월간의 급여(기본급, 수당, 상여금 등)를 기준으로 합니다.
퇴직금 계산기 이용법
- 입사일과 퇴직일 입력
- 최근 3개월 간 임금 총액 입력
- 자동으로 평균임금과 퇴직금 계산
- 고용노동부, 사라민, 잡코리아에서 제공
퇴직금 활용법
- 긴급자금 확보: 생활비 3~6개월 확보
- 부채 상환: 이자 부담이 큰 고금리 대출 우선 상환
- 안전한 저축: 정기예금·적금·MMF 등
- 투자 분산: 주식, 펀드,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 분산
- 퇴직연금 전환: IRP 계좌 활용 시 최대 16.5% 세액공제 가능
활용 시 유의사항
- 원금 손실 위험이 있는 고위험 투자 주의
- 세금, 수수료 등 부대비용 고려
- IRP 전환 시 수령 조건·수수료 확인
- 전문가와 상담 후 투자 결정
요약 표
구분 | 내용 |
---|---|
정의 | 1년 이상 근속 시 퇴직 시 지급하는 법정 보상 |
목적 | 노후 안정, 장기근속 유도, 실업 대비 등 |
조건 | 1년 근속 + 주 15시간 이상 |
계산법 | (1일 평균임금 × 30) × (근속일 ÷ 365) |
계산기 | 고용노동부, 잡코리아, 사라민 등 제공 |
활용 | 저축, 투자, 연금 전환, 세제 혜택 활용 |
여러분, 퇴직금은 '보너스'가 아니라 '기회'입니다.
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신다면, 퇴직 후 삶을 더 똑똑하게 준비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를 쥐신 겁니다.
퇴직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입니다. 그 출발을 든든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바로 퇴직금입니다.
제대로 알고, 제대로 활용하세요.